KDI, 건설사 재무건전성 최악…부채비율 지급보증감안시 500% 외부감사대상 건설업체(2008년 기준 자산 70억원 이상의 1782개사) 가운데 232개사가 부도위기에 몰릴 수 있다는 충격적인 분석이 제기됐다. 이들 기업이 모두 부도로 이어질 경우 금융권 전반에 미칠 영향은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KDI는 6일 건설부문 재무건전성 평가보고서를 통해 “최근 건설관련 PF(프로젝트 파이넨싱) 대출의 연체율이 확대되는 가운데 건설업체의 대규모 부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건설 부문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경묵 KDI 연구위원은 “건설업의 부채비율은 200%대에 그치고 있으나 시행사에 대한 지급보증을 감안할 경우 부채비율이 500% 수준으로 급등하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그는 “부채비율 이외에도 수익성(매출액영업이익률), 유동성(총부채 대비 단기차입금), 이자지급능력 등 대부분 재무건전성 관련 지표 역시 크게 악화됐다”고 지적했다.  임 연구위원은 특히 부도 가능성에 대한 분석 결과, 외부감사대상 건설업체 중 232개(약 13%)가 부도로 처리될 경우 5조원 정도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자본잠식이거나 부채비율이 500%를 상회하고, 영업적자이거나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이며, 총부채에서 단기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60%를 넘는 업체 가운데 비재무적 요인을 감안해 보수적으로 산출하더라도 232개사가 부도위기에 몰렸다고 진단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1미만으로 부실 위험기업을 분석하면 부실 위험이 높은 기업의 수나 부채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견업체들의 부채비율은 170% 대이지만 PF 등을 포함한 우발채무를 합치면 300~400%대로 올라갈 것”이라며 “회사채 발행 등으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업과 그렇지 못하는 기업에 따라 위기극복에서 차이가 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우발채무 등은 기존에도 있었던 내용이지만 현재 업황이 좋지 않은 상태여서 부각되는 면이 있다”며 “건설사 들이 사업장 매각 등 자구 노력도 이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연구위원은 “건설업체의 재무건전성은 물론 시행사에 대한 지급보증 등을 폭넓게 감안해 기업별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엄밀하게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우발채무에 대한 공시를 강화하고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준비도 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