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박흥순 기자]건설현장의 손과 발을 담당하는 기능인력의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달했다. 현장에서 사고가 빈발하고 열악한 근무환경까지 더해져 젊은 층의 유입이 끊기면서다.
정부는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인등급제’를 시행하는 등 각종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업계는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사진:연합뉴스 |
17일 건설근로자공제회에 따르면 8월말 기준 건설기능인력 152만4000명 중 50대는 55만9000명, 60대이상은 38만4000명으로 각각 전체의 36.7%, 25.2%를 차지했다. 기능인력 2명 중 1명이 50대 이상으로 평균연령은 50.9세에 달했다.
40대 이상 기능인력은 125만명으로 전체의 82%를 차지, 전산업 40대 이상 취업자 비율(66.7%)보다 15.3% 높아 심각한 고령화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기능인력의 고령화는 수십년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 22년동안 60대 이상과 50대의 비중은 각각 19.1%p, 18.3%p 증가한 반면, 30대는 17.2%p 줄었고 20대 이하도 8.4%p감소했다. 평균연령도 2014년보다 2.2세 높아졌다. 이 문제는 2016년 이후 건설현장에 내·외국인 청년층이 유입되면서 둔화하는 움직임을 보였으나 2021년 코로나19 사태를 맞으면서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신규인력이 현장에 투입되지 않는 흐름이 지속될 경우, 업계 전반의 역동성이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건설업계는 스스로 현장의 근무조건을 개선하면서 젊은 세대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환경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도 기능인등급제를 통해 건설현장에 청년층 유입 효과를 노리고 있다. 기능인등급제는 건설기능인을 초급·중급·고급·특급으로 구분해 경력과 자격증, 교육훈련, 포상 등에 따라 다른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제도다. 하지만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기능인등급제만으로 업무역량을 파악하기 힘들다며 도입을 꺼리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 관계자는 “2030세대의 건설현장 유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교육, 숙련수준에 대해 인정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기능인등급제를 현장에서 받아들이고 시행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흥순 기자 soon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