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속대책은 부작용 최소화에 그칠듯 이달말로 예정된 시공능력 상위 300위권 건설사에 대한 구조조정 발표 시 기업 실명을 빼고 그 규모만 공개될 전망이다.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 규모도 당초 알려진 20~30개사보다 훨씬 줄어 10개사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주말까지 300위권 건설사에 대한 2차 신용위험평가 기본작업이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오늘(21일)부터 채권은행 간 조율작업 등을 거쳐 이번주까지 그 결과를 금감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그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조정을 거쳐 구조조정 대상을 이달 30일 전에 발표할 계획이다. 다만 발표는 금감원보다는 은행연합회나 주채권은행단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금감원 기업재무개선지원단 고위 관계자는 “18일까지 채권단의 신용위험평가 기본작업이 끝났다”며 “현재 속도를 감안하면 이달 말에야 평가결과를 발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발표에선 구조조정 대상 기업들의 실명이 빠질 것으로 보인다. 이 관계자는 “작년 1·2차 건설사 구조조정 당시 기업 실명 공개로 불필요한 피해가 발생했다”며 “(구조조정 대상기업의) 이름 발표 순간 기업의 영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올해는 실명공개를 안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조조정 대상 범위도 시장의 예상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는 시장 생각만큼 많지도 않고 그렇다고 적지도 않다”며 “수십 개를 넘는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작년에 (구조조정을) 많이 했고, 올해 초에도 구조조정 기업들이 많았던 만큼 이번 평가에서 몇 개사만 나오더라도 파장이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이번 건설사 구조조정 규모가 20~30개사에 이를 것이란 일부의 예측과 다르다. 이와 관련, 한 채권단 관계자는 “아직 평가결과가 취합되진 않았지만 현재 분위기로는 구조조정 대상이 10개사 내외에 그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평가는 300위권 건설사 중 현재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중인 기업을 뺀 나머지 업체를 대상으로 A(정상),B(일시적 유동성 부족),C(부실징후),D(부실) 등 4개 등급으로 분류한다. C등급은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나 퇴출 등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
건설사 구조조정 발표와 함께 정부가 내놓을 건설업계 활성화 대책은 크게 기대할만한 내용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가 원하는 DTI(총부채상환비율), 분양가상한제 등 굵직한 정책은 빠진 채 PF(프로젝트파이낸싱) 우발채무 일부 인수, 협력업체 지원방안 등 미시적 정책에 제한될 전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4.23 미분양 대책의 후속대책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이번 구조조정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활성화 대책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