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수요 7건 9800억...75% 차지

건설사 상반기 실적확보 경쟁치열
공공 물량 가뭄 해소에 도움기대감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정부의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 기조에도 잠잠했던 시설공사 개찰이 5월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특히 건설업계의 관심을 한몸에 받고 있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공공주택 건설공사 개찰이 기지개를 켜며 시공능력평가액 기준 30대 건설사들의 움직임이 바빠졌다.

29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5월 개찰하는 추정가격 기준 300억원 이상 대형 사업은 15건, 1조2900억원에 달한다. 대형공사 개찰이 없어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던 공공업계의 물량 가뭄이 5월부터 일부 해소되는 셈이다.


5월 개찰 물량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LH의 종합심사낙찰제 방식 건설공사 개찰이 포문을 연 덕분이다. 5월 개찰하는 15건의 공사 중 LH 물량이 무려 7건, 금액만 9800억원에 달하며 75%를 차지하고 있다.

조달청은 “LH의 공동주택 건설공사 발주가 4월부터 시작되며, 5월부터 순차적으로 개찰이 진행될 예정”이라며, “건설업계의 물량 가뭄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전했다.

실제로 조달청이 계획한 4월 시설공사 공고예정 물량은 3조8737억원(105건)으로, 3월(1조6471억원·48건) 대비 58% 가까이 늘어났다.

앞서 조달청은 올해 8조5895억원(69건) 규모의 LH 시설공사 발주를 예고했으나 1∼3월까지 입찰공고가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3~8월 시설공사 종심제 발주에 집중하기로 했는데 3월 발주가 늦어지며 상당 부분이 4월로 이월, 5월부터 개찰을 시작한 셈이다.

건설업계는 학수고대하던 LH 개찰이 본격화하며 입찰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12ㆍ3 계엄사태 여파였는지 1∼2월에는 300억원 이상 개찰이 없었고, 3월에는 3건, 4월에도 9건 개찰에 그쳤다. 그나마도 공사규모가 너무 작아 중견 이상 업체들은 입찰 참여가 어려운 사업들이 대부분이었다”라며, “LH 발주가 개시하며 주요 건설사들은 상반기 실적 채우기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한편, 건설업계는 정부의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 목표(66.8%)는 채우지 못할 것으로 내다보는 분위기다.

주요 기술형 입찰들이 연이어 유찰된 여파도 있지만, 기타 공사도 내역 및 설계변경 등을 이유로 미집행 이월물량이 쌓이고 있는 탓이다.

한 발주기관의 고위 관계자는 “작년에도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 목표를 세우기는 했지만, 집행률 목표(65%)를 약 10%포인트 가까이 미달했다”며, “올해 목표율 미달치는 더욱 클 것으로 보인다. 예산 조기집행을 끌고나갈 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영향도 배제하기 어렵다”라고 토로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