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강력제재 임박… 건설업계 긴장

 

[대한경제=박흥순 기자]정부가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초강력 제재 검토에 착수하면서 건설현장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가 올해 시공능력평가 7위 규모의 대형건설사인 만큼 자칫 건설업 등록 말소 처분이라도 이뤄지게 되면 그 후폭풍을 감당하기 버거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제재 검토 작업에 들어간 가운데 영업정지 처분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안산선 복선전철 터널공사 조사 결과에 따라 건설업 등록 말소 처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만에 하나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등록 말소 처분이 내려질 경우 단순한 기업 제재를 넘어 건설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도 그럴 것이, 지난해 기준 포스코이앤씨와 실질적인 거래 관계를 맺은 협력업체는 625곳, 등록 협력사(2107곳)까지 포함하면 무려 2000곳이 넘는다.

건설산업은 수많은 주체들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돌아가는 구조다. 포스코이앤씨와 같은 종합건설사가 수주한 대형 프로젝트는 전문건설사, 자재·장비업체 등 다양한 협력사들의 협업을 통해 완성된다. 이들은 포스코이앤씨의 사업 중단이 곧장 생존과 직결되는 ‘운명공동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스코이앤씨에 대한 등록 말소가 현실화되면 포스코이앤씨는 물론 이들 협력업체의 현장은 즉각 중단될 수 있다.

협력업체들은 투입한 인력·자재·장비에 대한 비용인 기성금 회수부터 막히게 된다. 특히 자금력이 취약한 중소업체들은 한두 달만 자금이 막혀도 연쇄 부도 위기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는 2·3차 협력업체와 그 소속 근로자들의 대량 실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건설현장에선 이번 사태가 건설산업 전반을 위축시키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길 바라고 있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대형건설사를 ‘시범 케이스’로 삼아 일벌백계하려는 시도는 수천개 협력사와 수만명의 생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수십년간 국가 기반산업의 한 축을 담당해온 기업과 산업 생태계를 무너뜨리는 방식으로 책임을 묻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감정적인 처벌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실효성 있는 해법을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전투자와 시스템 개선을 유도하는 게 시급한데, 아예 문을 닫게 하면 어떤 기업이 미래를 보고 안전에 투자하겠나”라고 토로했다.

박흥순 기자 soon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